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필사369

12월 13일 누구나 자신의 마음을 통제할 수 있다 반복적 생각은 자신만의 반복적 생각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좋은 경험과 능력, 이러한 것들도 받아들일 수 있다. 인간은 나의 반복적 생각 외에 다른 사람의 반복적 생각도 내 것으로 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람의 의지이다. 2024. 12. 13.
12월 12일 반복적 생각이 운명을 결정한다 확실한 의도와 목적을 갖고 만들어진 반복적 생각,이것을 다른 말로 얘기하자면 목표의식이 아닐까 싶다. 정확히 원하고 바라고자 하는 목표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의식, 그것이 바로 목표의식이다.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면 끊임없이 고민하고 답을 달아야 한다. 그리고 그 목표의식이 운명을 결정한다. 그 목표의식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 바로 반복적 생각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바라는 것을 얻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을 얻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생각하고 자신이 그것을 가질 수 있게끔 채찍질해야 한다. 반복적 생각이 나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 2024. 12. 12.
12월 11일 두려움은 마음을 속박한다 두려움의 감정을 갖지 않는다는 것, 어쩌면 이것이 성공의 비법일 수 있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두려움은 그저 마음의 상태이다. 이 막연한 두려움이란 마음의 상태가 의심과 자신 없음을 만들어내고, 결정을 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으로 이어진다.  두려움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두려움은 생기더라도 그건 일시적인 마음의 상태이다. 그 마음의 상태를 컨트롤할 수 있다. 해야 한다.  책에서 의사를 예로 들었다. 의사들은 전염성 강한 질병으로부터도 어째 안전해 보인다. 이유가 무엇일까? 매일같이 다양한 질병의 사람들을 만나지만 그렇다고 의사들이 전염률, 발병률이 그다지 높지 않다. 그것은 의사들은 막연한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그들이 접하는 질병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안다. 그러기에 그들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컨트롤할 .. 2024. 12. 12.
12월 10일 자신에게 숨어있는 두려움을 파악하라 누구나 두려움을 가질 수 있다. 어떠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지 먼저 파악해 보라. 이유는 이러한 두려움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두려움은 의심과 우유부단함과 친구이다. 그러니 일단 자신이 가진 두려움이 어떤 것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닥치지도 않았지만 나 스스로 가지고 있는 두려움은 꽤 크고 많아 보인다.  일단 나는 나 자신에게 숨어있는 두려움을 파악해 본다. 2024. 12. 10.
12월 9일 마음 속에서 제거해야 할 세 가지 적 성공철학의 어떤 부분이라도 성공적으로 활용하기에 앞서 자신의 마음이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세 가지 적, 우유부단함, 의심 그리고 두려움이다. 이 세 가지의 부정적 감정 중 하나라도 마음속에 있다면 직감은 결코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 세 가지 감정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어느 한 가지라도 마음속에 있다면 다른 두 가지의 마음 역시 마음 주변 가까이에 존재한다. 생각해 보면 그렇다. 우유부단함이 생기는 것은 의심과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심이 생김으로 인해 두려움과 우유부단함이 발생한다. 세 가지 것은 다른 듯 하지만 연관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있다면 직감은 생겨날 수 없고 나 자신을 믿을 수 없다. 반드시 제거해야 할 세 가지 적임에 틀림없다. 한.. 2024. 12. 9.
12월 8일 고통을 주는 6가지 두려움 가난에 대한 두려움비판에 대한 두려움 건강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 누군가의 사랑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 늙는 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6가지 두려움이다. 이러한 두려움은 사람에게 고통을 준다. 그리고 이 두려움이 하나씩 오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개가 함께 오는 경우도 있다. 이 여러 개의 두려움이 한꺼번에 다가온다면 미치고 힘들 지경일 것이다. 그러나 잘 보라. 가난, 늙음, 죽음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두려워하는 마음 자체가 중요하다. 그 두려움은 실체가 없다. 그저 막연함이다. 아직 오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그저 두려움은 마음속에 자리 잡은 잠재의식일 수도 있다.  두려움이 주는 고통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다. 자유로워야 한다. 2024.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