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사369 9월 1일 힘의 정의 힘이란 자신의 열망을 긍정적 대체물로 변환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체계화된 노력이다. 힘이란 무엇인가? 부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힘이 필요하다. 무언가를 이뤄내는 바로 그 힘이다. 계획을 실행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것 또한 힘이다. 그래서 힘의 정의를 이렇게 내렸다. 자신의 열망을 긍정적 대체물로 변화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체계화된 노력, 바로 그것이 힘이다. 힘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2024. 9. 6. 8월 31일 노력하는 사람에게 기회는 계속 찾아온다 만약 가진 것이 실패와 자신감의 부족, 미움이나 자제력의 부족이라면 그 사람은 그런 것들을 더욱 넉넉히 받게 될 것이다. 가진 것이 성공과 자신감, 자제력, 인내와 끈기, 결단력이라면 그 사람의 가진 것은 더욱 많아질 것이다. "무릇 있는 자는 받아 넉넉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나마 있는 것도 빼앗기리라"왜 부자는 더욱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가난함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물론 가난함에서 벗어나는 사람도 많다. 왜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일이 더 잘될까? 왜 웃으면 복이 온다고 했을까? 부자의 성품은 긍정적이고, 목표의식도 강하고, 웃는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그러한 사람에게 기회는 더 많이 가게 된다. 그렇지 않은 반대의 사람에게는 와야 할 복이 오다가도 사라진다. 노력하는 자에게는 .. 2024. 9. 6. 8월 30일 인내하지 않으면 성취는 없다 명확한 중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없다면 목표는 없는 것과 같다. 인내의 중요성, 다른 말로 하자면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자 꾸준함이다. 명확한 목표를 세웠다면 작은 것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가고자 하는 길을 가야 한다. 1년이 걸리든 10년이 걸리든 어쩌면 평생이 걸릴지라도 꾸준히 목표한 바를 행하는 것이 바로 성공의 길이고 성취의 길이다.그런데 사람이라면 그 기간이 조금은 짧아졌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죽기 바로 전에 성공하기보다는 한 살이라도 어릴 때 혹은 조금이라도 어릴 때 무언가를 이루고 성공하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맘이다. 그러다 보니 인내하지 못하고 이것을 하다가 이게 아닌가 보다 하고 다른 것을 한다. 혹은 빠르게 포기하고 다른 것을 찾는다. 별수 없다. 이 생에 자그마하지.. 2024. 9. 5. 8월 28일 리더의 능력 리더의 능력, 문득 이 글을 읽으면서 가정에서 가장의 능력은 어떠한 것이 필요할까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떠오른다. 솜씨, 아마도 역량, 그리고 인내심, 끈기와 자신감, 해박한 지식, 한치의 불안도 보이지 않으면서 급변하는 상황에 자신을 적응시켜 나갈 수 있는 능력, 어떠한 조직에서든 리더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자꾸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한치의 불안도 보이지 않으면서 급변하는 상황에 자신을 적응시켜 나갈 수 있는 능력.리더는 낯선 환경에서도 자신의 조직을 이끌고 나가야 한다. 낯선 환경은 누구에게나 불안하다. 그 순간 리더가 불안감을 보인다면 구성원들은 더 큰 불안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리더는 불안감을 보이지 않고 그 낯선 환경에 빠르게 적응해 가며 새로운 길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 문득.. 2024. 8. 28. 8월 27일 언제라도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갖춰라 사람의 삶은 누구나 서비스를 제공하며 살아간다. 회사에서의 일도 생각해 보면 고용주에게 혹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사업이라는 것도 결국 서비스 제공을 통해 돈을 번다. 이러한 마인드와 애티튜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고용인과 고용주의 관계에서도 이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고용주는 몇 번의 인터뷰를 통해 이 사람이 우리 조직에 적합한지에 대해 확신이 없다. 고용인은 자신의 능력을 과신한다. 그래서 이 정도의 보상은 받아야겠다고 생각한다. 서로의 입장이 일치되지 않는다. 믿을만한 고용주라면 그 고용주에게 이렇게 말하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내가 가진 나의 능력을 보여줄 테니 나의 능력이 마음에 들면 그때 그에 걸맞은 대가를 지불해 주시오"이렇게 말할 배짱과 역량을 가진 사람도 실은 .. 2024. 8. 28. 8월 26일 불가능이란 단어를 멀리하라 불가능이란 단어는 아무나 쓰는 단어가 아니다.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는 것은 어찌 보면 전지전능한 신만이 아는 영역일 수도 있다. 보통의 평범한 범인은 '불가능'이란 단어를 인식할 필요가 없다. 그야말로 해보지도 않고 어떻게 알겠는가?불가능이 아니라 포기이다. 아직 포기는 이르고, 해보지 않고서는 감히 불가능이란 단어를 입에 올릴 필요는 없다. 2024. 8. 26.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6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