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루어지는 힘, 필사395 10월 3일 성에 대한 열망은 강력한 창의적 힘의 근원이다 성에 대한 열망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 다만 어떤 사람은 강한 성에 대한 열망을 조절하지 못해 그릇된 행동으로 나아가 패가망신하는 경우도 종종 본다. 우리가 뉴스에서 보는 사람들은 대부분 성에 대한 강한 에너지를 잘못 사용한 사람들이다. 정작 그 성에너지에 대한 가치를 잘 알고 그 에너지를 적절한 에너지로 변환한 사람은 강한 성취를 발휘하기도 한다. 정작 그런 사람은 성에너지가 아닌 다른 에너지가 충만한 사람으로 이해하곤 한다. 하지만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인간이 가진 에너지 중 가장 강력한 에너지, 열망 중 하나는 성에너지이고 성에 대한 열망이다. 그 에너지가 있는 사람이 그리고 그 에너지를 제대로 활용한 사람이 원하는 것을 성취한다. 창의적인 글을 쓰기도 하고, 문학이나 예술 분야에서 성공을 거.. 2024. 10. 3. 10월 2일 성에 대한 열망 성에 대한 열망은 인간의 열망 중에서 가장 강력하다. 남녀의 성 차이에 따른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성에 대한 열망은 인간의 가장 큰 열망, 욕망 중 하나이다. 성에 대한 열망은 강한 용기로 변환될 수도 있으며 상상력, 의지력, 인내력, 창의적 능력이 더 예리하게 다듬어진다고 한다. 성에 대한 열망이 없다면 이 역시 어렵다. 성에 대한 열망이 강력한 것은 그만큼 에너지가 넘친다는 의미이다. 이 에너지를 어떻게 변환시키고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 2024. 10. 2. 10월 1일 성에너지의 잠재력 성에 대한 강한 열망 역시 에너지이다. 에너지는 변환이 가능하다. 성에너지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강력한 에너지로 변화될 수 있고, 한낱 부질없는 발정으로만 치부될 수 있다. 그러기에 성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성에너지는 어떠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성 에너지는 기본적으로 인류의 보전이라는 강력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건전하게 성에너지를 활용하는 것은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성에너지를 적절하게 변환할 수 있다면 평범한 사람을 천재로 만들 수 있다. 이 에너지를 어떻게 변환시키고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 2024. 10. 1. 9월 30일 조화없는 마스터마인드는 존재할 수 없다 마스터마인드팀의 근간은 조화이다. 제대로 된 협력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협력이 필수불가결이다. 마스터마인드의 멤버 간 조화로움이 없이는 마스터마인드팀이 제대로 돌아갈 수 없다. 여러 번 얘기하고 생각나지만 결혼을 한 부부가 가장 대표적인 마스터마인드팀의 기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세상 어느 조직보다 조화와 화합이 필요하다. 2024. 9. 30. 9월 29일 지식에 의해서만 진정한 힘이 생겨난다 일반적이고 체계화되지 않은 지식은 힘이 아니다. 그것은 다만 잠재적 힘에 지나지 않을 뿐이며 지식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료에서 진정한 힘이 만들어질 수 있다. 지식에 의해서만 진정한 힘이 생겨나지만 그 지식은 단순히 내 머릿속에, 책 속에 있는 지식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지식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야 하며 체계화되어야만 비로소 지식으로서 그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얻은 것을 운영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도 진정한 힘이 필요하다. 이 힘을 갖기 위해서는 지식이 필요하고 그 지식은 역시나 일반적이고 체계화되어 있어야만 의미가 있다. 2024. 9. 29. 9월 28일 노력을 조화롭게 조직화하라 인간이 가진 힘은 체계화된 지식이 지적 노력을 통해 표현된 것이다. 회사에서 말로 모든 것을 하는 사람, 혹은 조직, 신뢰가 가지 않는다. 일을 체계화했다고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일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인간이 가진 힘은 표현된 체계화된 지식이다. 그것이 다른 동물과는 다른 차별점이다. 그렇다면 인간 역시 이러한 인간의 힘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지식을 만들 줄 알아야 한다. 조직생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많은 직장인들의 불만 중 하나는 "문서작업이 너무 많다"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그런 얘기를 하는 직장인치고 진짜 문서작업이 많은 사람을 못 봤다. 그저 문서작업이 귀찮을 뿐이다. 그리고 제대로 된 문서작업을 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 그런 말을 한다. 기록을 남.. 2024. 9. 29.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