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명언은 동양, 특히 중국 고전에서 유래한 오랜 격언이자 속담으로, 춘추전국시대 법가(法家)의 사상가 한비자(韓非子)의 저서 『한비자(韓非子)』 「외저설 좌상(外儲說左上)」 편에 나오는 말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원문은 "淵木而求魚,不如退而結網 (연목이구어 불여퇴이결망)" 입니다. 직역하면 "연못에 나무에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보다 물러나 그물을 엮는 것이 낫다"이며, 이는 단순히 물고기를 보고 부러워하는 것보다 '실질적인 준비와 행동'이 중요하다는 뜻으로 통합니다.
한비자 "강에서 물고기를 보고 탐내는 것보다 그물을 짜는 것이 옳다."
이 격언은 단순한 소망이나 부러움을 넘어,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준비와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심오한 메시지입니다.
격언의 내용과 의미
이 명언은 '물고기를 보고 탐내는 것'과 '그물을 짜는 것'을 대비시키며 현실적인 문제 해결과 목표 달성의 지혜를 전달합니다.
- '강에서 물고기를 보고 탐내는 것'의 의미: 이는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거나 도달하지 못한 목표, 성공, 기회, 혹은 타인의 성취를 단순히 부러워하거나 욕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머릿속으로만 상상하거나, 말로만 원할 뿐, 그것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행동은 없는 소극적인 태도입니다.
- '그물을 짜는 것'의 의미: 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노력, 행동을 상징합니다. 물고기를 잡기 위해 필요한 '그물'이라는 도구를 직접 만들고 준비하는 행위처럼, 성공을 위한 철저한 계획 수립, 기술 습득, 자원 마련, 그리고 꾸준한 실행 등을 의미합니다.
- '옳다'는 판단: 단순히 부러워하는 행위는 아무런 생산성도 없으며, 오히려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합니다. 반면, 그물을 짜는 행동은 비록 당장 물고기를 잡지는 못하더라도, 궁극적으로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고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결론적으로 이 격언은 "이상적인 목표나 좋은 기회를 그저 바라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에 몰두하는 것이 현명하고 올바른 태도다"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꿈을 현실로 만들려면 감상적인 욕망이 아닌, 실질적인 준비와 노력이 선행되어야 함을 역설합니다.
사례
이 격언의 의미는 우리 주변의 다양한 사례와 역사적 인물의 성공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 개인의 경력 개발 및 취업:
- "좋은 회사에 취직하고 싶다"고 막연히 생각만 하는 것(물고기를 탐내는 것)은 아무런 결과를 가져오지 못합니다. 대신, 원하는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분석하고(그물의 종류를 정하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거나(그물을 짜고), 인턴십 경험을 쌓는 것(그물을 완성하는 것)이 결국 취업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게 합니다.
- 사업 창업 및 성공:
- "돈 많이 벌 수 있는 아이템이 있으면 좋겠다"며 아이디어만 맴도는 것(물고기를 탐내는 것)은 사업의 시작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반면, 시장을 조사하고(강의 특성 파악),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하며(그물 디자인), 시제품을 만들고(그물 제작), 투자 유치와 마케팅 전략을 실행하는 것(그물 던질 준비)이 결국 사업 성공이라는 물고기를 잡게 합니다.
- 건강 증진 및 다이어트:
- "날씬하고 건강해지고 싶다"고 매일 바라기만 하는 것(물고기를 탐내는 것)은 변비나 비만을 해결해주지 않습니다. 대신, 식단 계획을 세우고(그물 재료 선정), 꾸준히 운동하며(그물 짜는 행위),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그물 제작 기술 습득)이 건강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게 합니다.
- 스포츠 선수의 성공:
- 훌륭한 선수가 되고 싶다고 소망만 하는 것(물고기를 탐내는 것)으로는 올림픽 메달을 딸 수 없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혹독한 훈련(그물 짜기), 식단 관리, 멘탈 트레이닝 등 꾸준하고 실질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만 '챔피언'이라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 과학적 연구 및 발견:
- 세상을 바꿀 위대한 발견을 꿈꾸는 것(물고기를 탐내는 것)만으로는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습니다. 수없이 많은 가설을 세우고(그물 디자인), 실험을 설계하고 실행하며(그물 짜기), 실패를 거듭하며 데이터를 분석하는(그물 수정 및 보완) 과정이 있어야만 '발견'이라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한비자 (韓非子)에 대하여 **한비자 (韓非子, 기원전 280년경 ~ 기원전 233년경)**는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이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는 순자(荀子)의 제자였으며, 동문 수학한 이사(李斯)와 함께 법가 사상을 집대성했습니다. 한비자는 인간의 본성을 악하게 보고, 강력한 법치(法治)와 군주의 권력 강화를 통해 혼란한 사회를 통제하고 부강한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당시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에게 깊은 영향을 주어, 진나라가 천하를 통일하는 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그의 사상이 담긴 저서 **『한비자』**는 냉철한 현실 인식과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합니다. 그는 단순한 이상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적인 문제 해결과 통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강에서 물고기를 보고 탐내는 것보다 그물을 짜는 것이 옳다"는 격언 역시 이러한 한비자의 실용적이고 현실 지향적인 사상을 잘 보여주는 구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헛된 욕망에 사로잡히기보다 현실적인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
반응형
'오늘의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슨 쿨리, 낭비한 시간에 대한 후회는 더 큰 시간 낭비다. (8) | 2025.06.27 |
---|---|
[이소룡] 간단함이 훌륭함의 열쇠다 (1) | 2025.06.23 |
[얼 나이팅게일] 말만하고 행동하지 않는 것은 잡초로 가득찬 정원과 같다 (8) | 2025.06.17 |
[짐론] 일반적인 것을 잃을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평범한 것에 만족해야 한다 (7) | 2025.06.15 |
[플라우투스]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을 써야 한다 (7)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