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채굴 관련 용어 정리 채굴 해시속도 전자지갑 채굴난이도
채굴
코인 채굴은 컴퓨터 하드웨어가 코인 네트워크의 거래 승인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수학적 계산을 하도록 하는 처리과정이다. 코인 광부들이나 광산주들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대가로 그들이 승인하는 수수료나 코인을 받는다. 코인 채굴 시장은 얼마만큼의 계산을 했느냐에 따라 보상이 배분되거나, 채굴비용을 얼마만큼 지불했는지에 따라 코인을 지불하는 전문적이고 경쟁적인 시장이다. 모든 코인 사용자가 채굴을 하는 것은 아니며, 채굴은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채굴기
가상화폐 채굴을 위하여 수학적 연산문제(해시 알고리즘)를 풀 수 있는 컴퓨터, 난이도가 올라갈수록 더 많은 컴퓨터가 필요하다. 초기에는 홈 PC, USB 등으로도 가능하지만 난이도가 높아지면 슈퍼컴퓨터 수준 이상이 필요하다.
채굴자(Miner)
가상화폐의 채굴에 참여하는 사람을 뜻한다.
채굴소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코인을 채굴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말한다.
전자지갑
채굴한 코인을 암호형태로 보관하는 가상공간, 암호가 걸린 파일형, 애플리케이션형 등이 있다.
해시속도
해시속도는 코인 네트워크의 처리능력을 측정하는 단위이다. 코인 네트워크는 보안상의 이유로 고강도의 수학 연산을 처리해야 한다. 네트워크가 10Th/s의 해시속도에 달했다는 말은 1초에 10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2P
P2P(Peer to Peer)는 개개인이 서로 다른 이들과 상호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조직화된 집단과 같이 작동하는 시스템을 가리킨다.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의 거래를 송신하도록 네트워크가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어떤 은행도 제3자로서 필요하지 않다.
채굴난이도
코인 채굴의 어려운 정도를 말한다. 채굴 시 수학적 연산문제를 풀 때마다 점점 더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 하는 데서 어려워지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출처: 가상화폐 100문100답